vscode에서 gradle로 spring boot 세팅하기
근데 gradle init으로 잘 안 됐음;
원래는 이 글을 참고해서 gradle init
만 가지고 한 번 잘 해볼려고 했다. 최대한 raw하게 해보고 싶었음 그런데.. 아무래도 build.gradle
설정을 잘못했는지 계속 에러가 나가지고.. ㅠㅠ
그래서 검색해보다 좋은 글을 참고하여 결국 initializr를 쓰게 되었다. vscode에도 다 있더라구요.. 해서 까묵기 전에 한번 정리 해두려고 한다.
일단 위의 글을 참고해서 vscode의 마켓플레이스에서 Java Extension Pack (Microsoft), Spring Boot Extension Pack (Pivotal)을 설치하고,
Spring Initializr에서 dependencies를 web, lombok, devtools를 해놓고 만들면
build.gradle이 이런 모양이 된다.
보니까 내부/외부 plugin쪽을 좀 정리해주면 좋을 것 같아서.. 그리고 tomcat-embed-jasper도 추가해주자.
#2, 3은 gradle의 core plugin이고 #4, 5는 community plugin인데, community plugin은 gradle 2.1 이후 부터 buildscript{ dependencies{ classpath}}
이후 apply plugin
보다 plugins
하나로 하는듯. 보기 깔끔하다. core plugin은 여전히 apply plugin으로 하는 듯 하지만.. 그냥 합쳐 놓는게 더 보기 좋은듯?
암튼 그리고 간단하게 컨트롤러와 뷰를 만들고, properties 대신 yaml로 세팅하자.
참고로 @Controller
패키지 위치가 @SpringBootApplication
위치랑 같아야 한다는 점.. 이거 몰라서 model에 넣은 attribute가 view로 안 넘어가져서 고생했다;
그리고 webapp 폴더는 자동으로 만들어주지 않으므로 main 폴더 밑에 만들어주기. 그리고 그 아래에 jsp로 뷰를 적당~히 만들어주자.
application 설정 yaml은 아래 정도로 세팅했다.
오케 준비 완료. 터미널에서 ./gradlew build
이후 ./gradlew bootRun
으로 돌려도 되고 아니면 vscode에서 GUI로 run해줘도 된다. 난 이쪽이 더 편하고 서버 관리해주는 UI가 따로 제공되서 좋더라.
이렇게 아아주 기본적인 세팅이 끝났으니 이제 DB 붙이고 뷰 만들고 하면 잘 쓸 수 있을 듯?